▶ 강좌소개
국가기술자격 분야에서 오랫동안 사랑받아 온 성안당의 노하우와 유명강사가 직접 강의하는 핵심이론 정리와 다양한 예제및 단원 핵심문제의
상세한 해설로 우수한 학습효과를 획득하고, 나아가 건축전기설비 기술사 자격증 취득과정 중 1차 필기 및 2차 면접 과목의 심층학습을 통하여
보다 자세하게 이해하고, 나아가 자격증 취득의 밑바탕이 되고자 한다.
▶ 학습범위
건축전기설비 기술사 패키지 합격 과정
▶ 학습목표 및 내용
1. 전기의 설계, 감리, 기획 및 건축물 에너지 평가 시 관련된 제반 지식을 주된 내용으로 구성
2. 정보 통신 및 소방 관련 기술사, 발송배전 기술사의 기본적인 기술적 소양도 축적
3. 지식 경영 및 기술 경영에 있어 필요한 건축 전기에 대한 참고 이론 뿐만 아니라 업무상 기본 개념 토대로 구성
▶ 학습대상
▷ 건축전기설비 기술사 자격증 취득을 원하는 자
※ 자격증 취득 시 수행직무
건축전기설비 기술사는 건축전기설비에 관한 고도의 전문지식과 실무경험을 바탕으로 건축전기 설비의 계획과 설계, 감리 및 의장, 안전관리 등
담당하고, 건축전기 설비에 대한 기술자문 및 기술지도에 대한 업무를 수행한다
※ 진로 및 전망
건축물 관련 전기설비관리업체, 한국전력공사를 비롯한 전기공사업체, 전기설비설계업체, 감리업체, 안전관리대행업체 등에 진출할 수 있다.
또는 직접 전기시설설계업체, 감리업체 등을 직접 운영하기도 한다.
건설경기의 활성화와 함께 앞으로 사무용 빌딩 뿐만 아니라 아파트, 개인주택에 이르기까지 생활 환경의 개선과 통신망의 확충을 위하여 수용
전력량이 증가하고 전기공사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건축전기 설비관련 전문가의 수요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건설공사의
품질과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건설기술관리법」에 의해 감리전문 회사의 특급 감리원으로 고용될 수 있다.
[커리큘럼] 건축전기설비기술사 - 부하 및 배전설비
차시 |
강의내용 |
시간 |
강의보기 |
1강 |
조명 기초 및 용어 문제 (1) |
32분 13초 |
 |
2강 |
조명 기초 및 용어 문제 (2) |
29분 27초 |
|
3강 |
조명 기초 및 용어 문제 (3) |
34분 11초 |
|
4강 |
광원 문제 (1) |
32분 8초 |
|
5강 |
광원 문제 (2) |
26분 36초 |
|
6강 |
광원 문제 (3) |
27분 21초 |
|
7강 |
전반조명 및 조명설비 문제 (1) |
26분 29초 |
|
8강 |
전반조명 및 조명설비 문제 (2) |
31분 13초 |
|
9강 |
전반조명 및 조명설비 문제 (3) |
20분 4초 |
|
10강 |
전반조명 및 조명설비 문제 (4) |
27분 21초 |
|
11강 |
전반조명 및 조명설비 문제 (5) |
33분 44초 |
|
12강 |
옥내외 조명설계 문제 (1) |
30분 59초 |
|
13강 |
옥내외 조명설계 문제 (2) |
31분 21초 |
|
14강 |
옥내외 조명설계 문제 (3) |
26분 39초 |
|
15강 |
옥내외 조명설계 문제 (4) |
18분 39초 |
|
16강 |
옥내외 조명설계 문제 (5) |
20분 19초 |
|
17강 |
동력설비 문제 (1) |
42분 20초 |
|
18강 |
동력설비 문제 (2) |
33분 32초 |
|
19강 |
동력설비 문제 (3) |
30분 8초 |
|
20강 |
동력설비 문제 (4) |
32분 35초 |
|
21강 |
동력설비 문제 (5) |
17분 14초 |
|
22강 |
동력설비 문제 (6) |
25분 52초 |
|
23강 |
동력설비 문제 (7) |
45분 56초 |
|
24강 |
동력설비 문제 (8) |
31분 26초 |
|
25강 |
동력설비 문제 (9) |
33분 54초 |
|
26강 |
동력설비 문제 (10) |
27분 35초 |
|
27강 |
동력설비 문제 (11) |
35분 18초 |
|
28강 |
케이블 문제 (1) |
35분 58초 |
|
29강 |
케이블 문제 (2) |
33분 50초 |
|
30강 |
케이블 문제 (3) |
31분 19초 |
|
31강 |
케이블 문제 (4) |
28분 46초 |
|
32강 |
케이블 문제 (5) |
16분 45초 |
|
33강 |
간설설비 문제 (1) |
36분 34초 |
|
34강 |
간설설비 문제 (2) |
25분 53초 |
|
35강 |
간설설비 문제 (3) |
19분 8초 |
|
36강 |
간설설비 문제 (4) |
34분 3초 |
|
37강 |
간설설비 문제 (5) |
30분 38초 |
|
38강 |
간설설비 문제 (6) |
38분 4초 |
|
39강 |
전력품질 문제 (1) |
20분 13초 |
|
40강 |
전력품질 문제 (2) |
42분 2초 |
|
41강 |
전력품질 문제 (3) |
28분 50초 |
|
42강 |
전력품질 문제 (4) |
26분 57초 |
|
43강 |
전력품질 문제 (5) |
24분 8초 |
|
44강 |
전력품질 문제 (6) |
38분 40초 |
|
45강 |
전력품질 문제 (7) |
34분 21초 |
|
46강 |
전력품질 문제 (8) |
30분 3초 |
|
47강 |
전력품질 문제 (9) |
39분 47초 |
|
48강 |
KSC IEC 60364(내선 규정) 문제 (1) |
23분 5초 |
|
49강 |
KSC IEC 60364(내선 규정) 문제 (2) |
26분 20초 |
|
50강 |
KSC IEC 60364(내선 규정) 문제 (3) |
37분 55초 |
|
51강 |
KSC IEC 60364(내선 규정) 문제 (4) |
36분 54초 |
|
52강 |
KSC IEC 60364(내선 규정) 문제 (5) |
26분 18초 |
|
53강 |
KSC IEC 60364(내선 규정) 문제 (6) |
28분 25초 |
|
54강 |
KSC IEC 60364(내선 규정) 문제 (7) |
24분 50초 |
|
55강 |
KSC IEC 60364(내선 규정) 문제 (8) |
31분 46초 |
|
56강 |
KSC IEC 60364(내선 규정) 문제 (9) |
32분 45초 |
|
57강 |
KSC IEC 62305 문제 (1) |
37분 17초 |
|
58강 |
KSC IEC 62305 문제 (2) |
34분 8초 |
|
59강 |
KSC IEC 62305 문제 (3) |
23분 2초 |
|
60강 |
KSC IEC 62305 문제 (4) |
26분 41초 |
|
[커리큘럼] 건축전기설비기술사 - 전원설비 및 접지설비
차시 |
강의내용 |
시간 |
강의보기 |
1강 |
전원설비 - 전원설비개요(1) |
21분 35초 |
|
2강 |
전원설비 - 전원설비개요(2) |
29분 39초 |
 |
3강 |
수변전기본계획1-건축물 수전방식과 장, 단점 |
35분 53초 |
|
4강 |
수변전기본계획1- Spot Network 수전방식, 수전방식의 분류와 간이수전방식의 적용사 |
28분 8초 |
|
5강 |
수변전기본계획2- 수변전 설비 설계 시 고려사항 및 최신 기술동향 |
33분 46초 |
|
6강 |
수변전기본계획2- 변전설비 시스템 선정과 변전실 설계 시 고려사항, 변전실, 면적 산출방법 |
26분 13초 |
|
7강 |
수변전기본계획3- 변전설비 예방보전 및 On-Line진단 System |
28분 53초 |
|
8강 |
수변전기본계획3- 수변전 설비 설계 시 환경대책 |
21분 35초 |
|
9강 |
수변전기본계획4 - 500세대 아파트 설계 및 주택건설기준에 관한 규정 제40조 |
25분 15초 |
|
10강 |
수변전기본계획4 - 초고속 건축물의 신뢰도 향상대책과 IBS 전원 및 초고속 정보통신 인증 |
32분 21초 |
|
11강 |
수변전기본계획4 - 공장신설시 고려해야 할 기본 설계방향 |
27분 31초 |
|
12강 |
변압기1- 변압기 용량산정시 고려사항 |
25분 49초 |
|
13강 |
변압기1- 부하율 |
21분 30초 |
|
14강 |
변압기2- 변압기의 충격절연강도 및 ANSI/IEEE에 의한 변압기 단락강도의 시험방법 |
22분 25초 |
|
15강 |
변압기2-변압기의 이행전압 및 단권변압기의 장점과 단점 |
25분 59초 |
|
16강 |
변압기3- 변압기의 합리적인 Banking 방식 및 결선방식 |
28분 5초 |
|
17강 |
변압기3- 변압기의 병렬운전 방식 및 병렬운전 시 임피던스가 다른 경우 계산의 예 |
25분 36초 |
|
18강 |
변압기4- 변압기의 과부하 운전 및 냉각방식 |
26분 48초 |
|
19강 |
변압기4- 변압기의 보호대책 |
27분 20초 |
|
20강 |
변압기5- 변압기 보호 시 비율차동계전기가 반대로 접속되는 이유 |
22분 0초 |
|
21강 |
변압기5- 아몰퍼스 변압기 및 초전도 변압기 |
24분 41초 |
|
22강 |
차단기1- 차단기의 종류 및 용도(1) |
28분 4초 |
|
23강 |
차단기1- 차단기의 종류 및 용도(2) |
27분 8초 |
|
24강 |
차단기2- 차단기 차단 동작시 발생되는 현상(1) |
26분 55초 |
|
25강 |
차단기2- 차단기 차단 동작시 발생되는 현상(2) |
26분 40초 |
|
26강 |
차단기3- S.A 설치 이유 및 인입구 개폐기(1) |
27분 4초 |
|
27강 |
차단기3- S.A 설치 이유 및 인입구 개폐기(2) |
29분 14초 |
|
28강 |
전력용 콘덴서1- 1 |
26분 37초 |
|
29강 |
전력용 콘덴서1- 2 |
24분 14초 |
|
30강 |
전력용 콘덴서1- 3 |
23분 43초 |
|
31강 |
전력용 콘덴서 2-1 |
24분 36초 |
|
32강 |
전력용 콘덴서 2- 2 |
21분 29초 |
|
33강 |
전력용 콘덴서 2-3 |
27분 0초 |
|
34강 |
전력용 콘덴서 2- 4 |
31분 37초 |
|
35강 |
전력용 콘덴서 3 -역률제어기기(1) |
26분 36초 |
|
36강 |
전력용 콘덴서 3- 역률제어기기(2) |
20분 5초 |
|
37강 |
전력 퓨즈- 전력 Fuse(1) |
29분 21초 |
|
38강 |
전력 퓨즈- 전력 Fuse(2) |
29분 18초 |
|
39강 |
전력 퓨즈- 전력 Fuse(3) |
28분 22초 |
|
40강 |
계기용 변성기- 1 |
29분 9초 |
|
41강 |
계기용 변성기- 2 |
25분 21초 |
|
42강 |
계기용 변성기 -3 |
33분 5초 |
|
43강 |
계기용 변압기- 계기용 변압기(PT) 선정시 고려사항(1) |
23분 59초 |
|
44강 |
계기용 변압기- 계기용 변압기(PT) 선정시 고려사항(2) |
26분 46초 |
|
45강 |
피뢰기 - 1 |
29분 3초 |
|
46강 |
피뢰기 - 2 |
24분 17초 |
|
47강 |
피뢰기 - 3 |
28분 41초 |
|
48강 |
보호계전기- 디지털 보호 계전기(1) |
31분 48초 |
|
49강 |
보호계전기- 디지털 보호 계전기(2) |
25분 50초 |
|
50강 |
보호계전방식 - 1 |
31분 45초 |
|
51강 |
보호계전방식 -2 |
26분 6초 |
|
52강 |
보호계전방식 -3 |
21분 35초 |
|
53강 |
보호계전방식2- 과전류 차단기/누전차단기(1) |
24분 50초 |
|
54강 |
보호계전방식2- 과전류 차단기/누전차단기(2) |
29분 39초 |
|
55강 |
보호계전방식2- 과전류 차단기/누전차단기(3) |
29분 48초 |
|
56강 |
고정전류1- 대칭좌표법(1) |
27분 24초 |
|
57강 |
고정전류1- 대칭좌표법(2) |
29분 1초 |
|
58강 |
고정전류2 -단락전류억제 대책 및 단락용량경감 대책(1) |
28분 48초 |
|
59강 |
고정전류2 -단락전류억제 대책 및 단락용량경감 대책(2) |
23분 8초 |
|
60강 |
고정전류2 -단락전류억제 대책 및 단락용량경감 대책(3) |
27분 34초 |
|
61강 |
접지1 -수변전접지 설계시 고려사항(1) |
32분 39초 |
|
62강 |
접지1 -수변전접지 설계시 고려사항(2) |
27분 51초 |
|
63강 |
접지1 -수변전접지 설계시 고려사항(3) |
29분 8초 |
|
64강 |
접지2 -접지선의 굵기 및 접지저항 측정 방법(1) |
30분 50초 |
|
65강 |
접지2 -접지선의 굵기 및 접지저항 측정 방법(2) |
31분 54초 |
|
66강 |
접지2 -접지선의 굵기 및 접지저항 측정 방법(3) |
27분 8초 |
|
67강 |
접지3 -접지방식의 비교(1) |
28분 34초 |
|
68강 |
접지3 -접지방식의 비교(2) |
28분 34초 |
|
69강 |
접지4 -Macro shock 및 Micro shock(1) |
27분 27초 |
|
70강 |
접지4 -Macro shock 및 Micro shock(2) |
31분 51초 |
|
71강 |
접지5 - IEC 60364-3 배전계통 접지방식 및 접지배치, 보호도체, 결합도체(1) |
28분 17초 |
|
72강 |
접지5 - IEC 60364-3 배전계통 접지방식 및 접지배치, 보호도체, 결합도체(2) |
27분 31초 |
|
73강 |
접지5 -증성점 접지 방식별 통신유도 장해 경감 대책 |
34분 31초 |
|
[커리큘럼] 건축전기설비기술사 - 전기기초 및 기타설비
차시 |
강의내용 |
시간 |
강의보기 |
1강 |
총론 문제 (1) |
28분 23초 |
 |
2강 |
총론 문제 (2) |
22분 46초 |
|
3강 |
총론 문제 (3) |
28분 0초 |
|
4강 |
총론 문제 (4) |
34분 41초 |
|
5강 |
전기회로 문제 (1) |
24분 45초 |
|
6강 |
전기회로 문제 (2) |
24분 10초 |
|
7강 |
전기회로 문제 (3) |
29분 56초 |
|
8강 |
전기회로 문제 (4) |
25분 53초 |
|
9강 |
전기회로 문제 (5) |
34분 7초 |
|
10강 |
전기회로 문제 (6) |
39분 40초 |
|
11강 |
전기회로 문제 (7) |
32분 35초 |
|
12강 |
전기회로 문제 (8) |
27분 49초 |
|
13강 |
전기회로 문제 (9) |
23분 17초 |
|
14강 |
전기회로 문제 (10) |
28분 18초 |
|
15강 |
전기회로 문제 (11) |
22분 39초 |
|
16강 |
전기회로 문제 (12) |
37분 44초 |
|
17강 |
전기회로 문제 (13) |
24분 58초 |
|
18강 |
전기자기학 문제 (1) |
34분 9초 |
|
19강 |
전기자기학 문제 (2) |
21분 47초 |
|
20강 |
전기자기학 문제 (3) |
23분 11초 |
|
21강 |
전기자기학 문제 (4) |
30분 9초 |
|
22강 |
전기자기학 문제 (5) |
31분 14초 |
|
23강 |
전기자기학 문제 (6) |
24분 54초 |
|
24강 |
전기자기학 문제 (7) |
25분 38초 |
|
25강 |
전기자기학 문제 (8) |
25분 55초 |
|
26강 |
전기자기학 문제 (9) |
28분 59초 |
|
27강 |
전기자기학 문제 (10) |
27분 16초 |
|
28강 |
전기자기학 문제 (11) |
40분 59초 |
|
29강 |
분산형 전원 문제 (1) |
23분 13초 |
|
30강 |
분산형 전원 문제 (2) |
22분 49초 |
|
31강 |
분산형 전원 문제 (3) |
31분 15초 |
|
32강 |
분산형 전원 문제 (4) |
20분 39초 |
|
33강 |
분산형 전원 문제 (5) |
26분 58초 |
|
34강 |
분산형 전원 문제 (6) |
25분 5초 |
|
35강 |
분산형 전원 문제 (7) |
21분 50초 |
|
36강 |
분산형 전원 문제 (8) |
29분 24초 |
|
37강 |
분산형 전원 문제 (9) |
22분 17초 |
|
38강 |
분산형 전원 문제 (10) |
39분 15초 |
|
39강 |
분산형 전원 문제 (11) |
29분 43초 |
|
40강 |
분산형 전원 문제 (12) |
35분 27초 |
|
41강 |
분산형 전원 문제 (13) |
23분 20초 |
|
42강 |
에너지 절약문제 (1) |
31분 11초 |
|
43강 |
에너지 절약문제 (2) |
22분 54초 |
|
44강 |
에너지 절약문제 (3) |
28분 38초 |
|
45강 |
에너지 절약문제 (4) |
31분 49초 |
|
46강 |
에너지 절약문제 (5) |
28분 49초 |
|
47강 |
에너지 절약문제 (6) |
37분 39초 |
|
48강 |
에너지 절약문제 (7) |
20분 42초 |
|
49강 |
에너지 절약문제 (8) |
27분 25초 |
|
50강 |
반송설비 문제 |
24분 42초 |
|
51강 |
방범설비 문제 |
12분 6초 |
|
52강 |
정보통신 문제 (1) |
30분 16초 |
|
53강 |
정보통신 문제 (2) |
27분 19초 |
|
54강 |
정보통신 문제 (3) |
33분 48초 |
|
55강 |
정보통신 문제 (4) |
33분 48초 |
|
56강 |
정보통신 문제 (5) |
42분 16초 |
|
[커리큘럼] 건축전기설비기술사 - 피뢰설비 및 방재설비
차시 |
강의내용 |
시간 |
강의보기 |
1강 |
피뢰설비 문제 (1) |
45분 2초 |
 |
2강 |
피뢰설비 문제 (2) |
12분 11초 |
|
3강 |
피뢰설비 문제 (3) |
35분 14초 |
|
4강 |
피뢰설비 문제 (4) |
44분 36초 |
|
5강 |
피뢰설비 문제 (5) |
35분 31초 |
|
6강 |
피뢰설비 문제 (6) |
29분 53초 |
|
7강 |
피뢰설비 문제 (7) |
24분 20초 |
|
8강 |
피뢰설비 문제 (8) |
20분 19초 |
|
9강 |
피뢰설비 문제 (9) |
24분 53초 |
|
10강 |
피뢰설비 문제 (10) |
40분 42초 |
|
11강 |
피뢰설비 문제 (11) |
23분 43초 |
|
12강 |
피뢰설비 문제 (12) |
15분 16초 |
|
13강 |
피뢰설비 문제 (13) |
38분 18초 |
|
14강 |
피뢰설비 문제 (14) |
49분 27초 |
|
15강 |
피뢰설비 문제 (15) |
26분 41초 |
|
16강 |
피뢰설비 문제 (16) |
39분 51초 |
|
17강 |
피뢰설비 문제 (17) |
41분 9초 |
|
18강 |
예비용 전원 문제 (1) |
23분 52초 |
|
19강 |
예비용 전원 문제 (2) |
26분 49초 |
|
20강 |
예비용 전원 문제 (3) |
24분 27초 |
|
21강 |
예비용 전원 문제 (4) |
23분 54초 |
|
22강 |
예비용 전원 문제 (5) |
30분 25초 |
|
23강 |
방재설비 기초 문제 (1) |
24분 47초 |
|
24강 |
방재설비 기초 문제 (2) |
34분 33초 |
|
25강 |
방재설비 기초 문제 (3) |
30분 48초 |
|
26강 |
방재설비 기초 문제 (4) |
28분 29초 |
|
27강 |
방재설비 기초 문제 (5) |
21분 30초 |
|
28강 |
방재설비 기초 문제 (6) |
29분 34초 |
|
29강 |
방재설비 기초 문제 (7) |
24분 15초 |
|
30강 |
방재설비 기초 문제 (8) |
23분 39초 |
|
31강 |
자동화재탐지설비 문제 (1) |
21분 2초 |
|
32강 |
자동화재탐지설비 문제 (2) |
39분 20초 |
|
33강 |
자동화재탐지설비 문제 (3) |
17분 31초 |
|
34강 |
자동화재탐지설비 문제 (4) |
26분 44초 |
|
35강 |
자동화재탐지설비 문제 (5) |
36분 3초 |
|
36강 |
피난설비,소화활동설비,도로터널,화재안전 등 문제(1) |
16분 50초 |
|
37강 |
피난설비,소화활동설비,도로터널,화재안전 등 문제(2) |
20분 40초 |
|
38강 |
피난설비,소화활동설비,도로터널,화재안전 등 문제(3) |
32분 14초 |
|
39강 |
피난설비,소화활동설비,도로터널,화재안전 등 문제(4) |
29분 57초 |
|
40강 |
누전경보기 문제 |
12분 10초 |
|
41강 |
비상경보설비 문제 |
34분 42초 |
|
42강 |
방복전기설비 문제 (1) |
23분 11초 |
|
43강 |
방복전기설비 문제 (2) |
36분 27초 |
|
44강 |
내진대책 문제 |
53분 7초 |
|
45강 |
전기방식설비 문제 |
33분 51초 |
|
46강 |
기타 방재설비 문제 (1) |
14분 47초 |
|
47강 |
기타 방재설비 문제 (2) |
35분 5초 |
|
48강 |
기타 방재설비 문제 (3) |
29분 37초 |
|
[동영상 강의교재] 건축전기설비기술사 vol.1 부하 및 배전설비
 |
교재명 |
건축전기설비기술사 vol.1 부하 및 배전설비
|
저자 |
송영주, 오진택, 양재학 |
교재비 |
55000원 |
페이지수 |
844쪽 |
발행일 |
2017년 6월 13일(개정증보2판 1쇄 발행) |
ISBN |
978-89-315-2578-6 |
교재내용 |
저자의 합격 노하우가 집대성 되어 있는
단번에 합격하기 비법서!
건축전기설비기술사 Vol.1 부하 및 배전설비!!
고도의 정보사회로 나아가는 현실에서, 선진국 수준의 전기 기술은 다양한 분야에서 핵심적인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에
발맞춰 이 책에서는 지식 경영 및 기술 경영에 있어 필요한 건축 전기에 대한 참고 이론뿐만 아니라 업무상 기본 개념 및 문항을 폭넓게 수록하였다. 뿐만 아니라 건축 전기의 설계, 감리, 기획 및 건축물 에너지 평가 시 관련된 제반 지식을 주된 내용으로 하고 있으며, 과년도에 출제된 문제 위주로 내용을 대폭 보완하였다. 통상적으로
건축전기설비기술사 시험 문항을 분석해보면 중요 문제는 반복적으로 다시 출제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고, 에너지
평가에 대한 내용도 신선한 문제로 출제되고 있다. 따라서 제1권은
부하 및 배전설비, 제2권은 전원설비 및 접지설비, 제3권은 전기기초이론 및 기타설비,
제 4권은 피뢰설비 및 예비용 전원과 방재설비로 구성하였다.
이 책의 내용을 숙지한 후 자신의 현장경험을 첨가한다면 시험문제를
생생한 답안으로 마무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특히 최근의 관심거리인 SMART GRID 및 ESS에 대한 기본지식을 축적하기에 좋은 책이라
자평한다. 그리고 더 나아가 정보 통신 및 소방 관련 기술사, 발송배전기술사의
기본적인 기술적 소양도 축적할 수 있을 것이다.
■ 특징 및
출판사 서평
◇ 저자의 합격 경험을 바탕으로 한 합격비법 제시
◇ 출제문제에 대한 상세한 해설과 답안 제시로 기본 학습과 실전대비를
동시에 준비
◇ 출제 빈도가 높은 문제를 반복적으로 제시하여 확실하게 습득할
수 있도록 구성
◇ 합격비법을 알려주는 저자 직강 동영상 강의로 효율적 학습
■ 목차
머리말
건축전기설비기술사 가이드
Chapter 01 조명 기초 및 용어
Chapter 02 광원
Chapter 03 전반조명 및 조명설비
Chapter 04 옥내외 조명설계
Chapter 05 동력설비
Chapter 06 케이블
Chapter 07 간선설비
Chapter 08 전력 품질
Chapter 09 KSC IEC 60364(내선 규정)
Chapter 10 KSC IEC 62305 |
[동영상 강의교재] 건축전기설비기술사 vol.2 전원설비 및 접지설비
 |
교재명 |
건축전기설비기술사 vol.2 전원설비 및 접지설비
|
저자 |
송영주, 오진택, 양재학 |
교재비 |
40000원 |
페이지수 |
500쪽 |
발행일 |
2015년 9월 21일(개정증보1판 2쇄 발행) |
ISBN |
978-89-315-2482-6 |
교재내용 |
저자의 합격 노하우가 집대성 되어 있는 단번에 합격하기
비법서! <건축전기설비기술사Vol. 2 전원설비 및 접지설비!!>
■ 책 소개
고도의 정보사회로 나아가는 현실에서, 선진국 수준의 전기 기술은
다양한 분야에서 핵심적인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에 발맞춰 이 책에서는 지식 경영 및 기술 경영에
있어 필요한 건축 전기에 대한 참고 이론뿐만 아니라 업무상 기본 개념 및 문항을 폭넓게 수록하였다. 뿐만
아니라 건축 전기의 설계, 감리, 기획 및 건축물 에너지
평가시 관련된 제반 지식을 주된 내용으로 하고 있으며, 과년도에 출제된 문제 위주로 내용을 대폭 보완하였다. 통상적으로 건축전기설비기술사 시험 문항을 분석해보면 중요 문제는 반복적으로 다시 출제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고, 에너지 평가에 대한 내용도 신선한 문제로 출제되고 있다. 따라서
제1권은 부하 및 배전설비, 제2권은 전원설비 및 접지설비, 제3권은
전기기초이론 및 기타설비로 구성하였다.
이 책의 내용을 숙지한 후 자신의 현장경험을 첨가한다면 시험문제를 생생한 답안으로 마무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특히 최근의 관심거리인 SMART GRID 및 ESS에 대한 기본지식을 축적하기에 좋은 책이라 자평한다. 그리고
더 나아가 정보 통신 및 소방 관련 기술사, 발송배전기술사의 기본적인 기술적 소양도 축적할 수 있을
것이다.
■ 특징 및 출판사 서평
1. 저자의 합격 경험을 바탕으로 한 합격비법 제시
2. 최근 이슈되는 내용으로 출제되는 문제 완벽 정리
3. 출제 빈도가 높은 문제를 최근 개정된 내용으로 누구나
알기 쉽게 정리
4. 합격비법을 알려주는 저자 직강 동영상 강의
▣ 목차
머리말
건축전기설비기술사 가이드
Chapter
01 수변전 기본 계획
Chapter
02 수변전 기기
section 01 변압기
section 02 차단기
section 03 전력용 콘덴서
section 04 전력 퓨즈
section 05 계기용 변성기
section 06 피뢰기
Chapter 03 보호 계전
section 01 보호 계전기
section 02 보호 계전 방식
Chapter 04 고장 전류
Chapter
05 접지 설비
|
[동영상 강의교재] 건축전기설비기술사 vol.3 전기기초이론 및 분산형 전원과 에너지절약설비
 |
교재명 |
건축전기설비기술사 vol.3 전기기초이론 및 분산형 전원과 에너지절약설비
|
저자 |
양재학, 송영주, 오진택 |
교재비 |
65000원 |
페이지수 |
1,004쪽 |
발행일 |
2017년 4월 20일(개정증보1판 3쇄 발행) |
ISBN |
978-89-315-2574-8 |
교재내용 |
저자의 합격 노하우가 집대성 되어 있는 단번에 합격하기 비법서!
건축전기설비기술사 Vol.3
전기기초이론 및 분산형 전원과 에너지절약설비 등
고도의 정보사회로 나아가는 현실에서, 선진국 수준의 전기 기술은 다양한 분야에서 핵심적인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에
발맞춰 이 책에서는 지식 경영 및 기술 경영에 있어 필요한 건축 전기에 대한 참고 이론뿐만 아니라 업무상 기본 개념 및 문항을 폭넓게 수록하였다. 뿐만 아니라 건축 전기의 설계, 감리, 기획 및 건축물 에너지 평가시 관련된 제반 지식을 주된 내용으로 하고 있으며,
과년도에 출제된 문제 위주로 내용을 대폭 보완하였다. 통상적으로 건축전기설비기술사 시험
문항을 분석해보면 중요 문제는 반복적으로 다시 출제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고, 에너지 평가에 대한 내용도
신선한 문제로 출제되고 있다. 따라서 제1권은 부하 및 배전설비, 제2권은 전원설비 및 접지설비, 제3권은 전기기초이론 및 분산형 전원과 에너지절약설비, 제4권은 피뢰설비 및 예비용 전원과 방재설비로 구성하였다.
이 책의 내용을 숙지한 후 자신의 현장경험을 첨가한다면 시험문제를
생생한 답안으로 마무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특히 최근의 관심거리인 SMART GRID 및 ESS에 대한 기본지식을 축적하기에 좋은 책이라
자평한다. 그리고 더 나아가 정보 통신 및 소방 관련 기술사, 발송배전기술사의
기본적인 기술적 소양도 축적할 수 있을 것이다.
■ 특징 및
출판사 서평
◇ 저자의 합격
경험을 바탕으로 한 합격비법 제시
◇ 최근 이슈되는
내용으로 출제되는 문제 완벽 정리
◇ 출제 빈도가
높은 문제를 최근 개정된 내용으로 누구나 알기 쉽게 정리
◇ 합격비법을
알려주는 저자 직강 동영상 강의
■ 목차
머리말
건축전기설비기술사 가이드
Chapter 01 총 론
Chapter 02 전기회로
Chapter 03 전기자기학(자계 관련)
Chapter 04 분산형 전원
Chapter 05 에너지절약
Chapter 06 반송설비
Chapter 07 방범설비
Chapter 08 정보통신
|
[동영상 강의교재] 건축전기설비기술사 vol.4 피뢰설비 및 예비용 전원과 방재설비
 |
교재명 |
건축전기설비기술사 vol.4 피뢰설비 및 예비용 전원과 방재설비
|
저자 |
양재학, 송영주, 오진택 |
교재비 |
55000원 |
페이지수 |
828쪽 |
발행일 |
2017년 8월 18일(개정증보1판 3쇄 발행) |
ISBN |
978-89-315-2585-4 |
교재내용 |
저자의 합격 노하우가 집대성 되어 있는 단번에 합격하기 비법서!
건축전기설비기술사 Vol.4 피뢰설비 및 예비용 전원과 방재설비!
고도의 정보사회로 나아가는 현실에서, 선진국 수준의 전기 기술은 다양한 분야에서 핵심적인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에
발맞춰 이 책에서는 지식 경영 및 기술 경영에 있어 필요한 건축 전기에 대한 참고 이론뿐만 아니라 업무상 기본 개념 및 문항을 폭넓게 수록하였다. 뿐만 아니라 건축 전기의 설계, 감리, 기획 및 건축물 에너지 평가시 관련된 제반 지식을 주된 내용으로 하고 있으며,
과년도에 출제된 문제 위주로 내용을 대폭 보완하였다. 통상적으로 건축전기설비기술사 시험
문항을 분석해보면 중요 문제는 반복적으로 다시 출제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고, 에너지 평가에 대한 내용도
신선한 문제로 출제되고 있다. 따라서 제1권은 부하 및 배전설비, 제2권은 전원설비 및 접지설비, 제3권은 전기기초이론 및 분산형 전원과 에너지절약설비, 제4권은 피뢰설비 및 예비용 전원과 방재설비로 구성하였다.
이 책의 내용을 숙지한 후 자신의 현장경험을 첨가한다면 시험문제를
생생한 답안으로 마무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특히 최근의 관심거리인 SMART GRID 및 ESS에 대한 기본지식을 축적하기에 좋은 책이라
자평한다. 그리고 더 나아가 정보 통신 및 소방 관련 기술사, 발송배전기술사의
기본적인 기술적 소양도 축적할 수 있을 것이다.
■ 특징 및 출판사 서평
◇ 저자의 합격
경험을 바탕으로 한 합격비법 제시
◇ 최근 이슈되는
내용으로 출제되는 문제 완벽 정리
◇ 출제 빈도가
높은 문제를 최근 개정된 내용으로 누구나 알기 쉽게 정리
◇ 합격비법을
알려주는 저자 직강 동영상 강의
■ 목차
머리말
건축전기설비기술사 가이드
Chapter 01 피뢰설비
Chapter 02 예비용 전원
Chapter 03 방재설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