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대재해처벌법 실무

[PC+모바일] 강좌구성 32강 /
400000320000(20% 할인)

★ 법학박사의 명확한 해석, 안전보건 실무와의 입체적 연계

[교재] ※ 교재 첨부파일 제공
샘플영상보기

총 결제금액 0

강좌소개

강좌 특징 본문

▶ 강좌소개

중대재해처벌법의 이해부족전문지식의 부족으로 안전보건관리체계가 대부분 부실하게 구축되고 있다.
대기업과 공기업의 경우에도 안전보건관리체계의 구축방법절차서나 지침서의 내용이 부적합하여 중대재해 발생 시 형사면책을 받기 어려운 것으로 판단된다.
그 결과 중대재해처벌법의 위반으로 막대한 소송비용을 부담하고 있다안전관리체계는 중대재해의 예방적 기능을 하며결과책임의 방지수단임에도 전문지식의 부족으로 발생하는 문제점이다.
그래서 중대재해처벌법의 올바른 이해와 대응방안을 교육하기 위해 영상특강을 마련하였다.


▶ 강좌특징
1. 
사업주 또는 경영책임자공무원기관장이 알아야 할 중대재해처벌법의 핵심 사항을 설명
2. 
산업안전보건법과 중대재해처벌법의 차이안전ㆍ보건관리기법과의 차이안전관리자 등이 오해하는 사항의 설명
3. 
사업주 또는 경영책임자의 지위에서 역할과 책임을 구분안전보건총괄 전담기구의 역할과 법적 책임 등 해설
4. 
본사와 사업장의 연계방안안전보건 관리체계의 구축 시 고려사항을 제시
5. 
안전보건관리체계와 절차서지침서중대재해 대응매뉴얼의 작성방법규범적 판단요소를 설명
6. 
안전보건관리체계와 범죄의 성립요건형사책임과 면책방안법원판결 사례 등을 해설
7. 
중대산업재해와 중대시민재해의 사건 사례를 범죄요건과 형사처벌 여부 등 중대재해처벌법과 산업안전보건법형법을 비교하여 대응방안을 해설
8. 
중대재해처벌법의 이행점검을 위한 점검표의 개발사례평가요소활용방안 등 실무요령을 설명
9. 도급용역위탁 등 안전보건관리체제의 구축과 실행방안건설공사발주자와 도급인의 구별
10. 
통상적 손해배상과 징벌적 손해배상의 차이손해배상액의 산정방법징벌적 손해배상액의 산정과 결정요소 등


▶ 본 강의의 장점
1. 
어렵고 생소한 법규범성 등 법률용어관계분석의 방법 등을 알기 쉽게 해설
2. 
기술성과 규범성의 차이판단요령을 해설하여 올바른 지식의 습득이 가능
3. 
안전보건관리(총괄)책임자관리감독자의 평가에 대응한 적합한 행위를 통한 사업장의 안전관리수준 향상이 가능
4. 
안전보건관리체계 등 컨설팅을 위한 전문역량의 강화에 필요한 전문지식
5. 
규범적 강제사항과 재량행위를 구분하여 해설절차서 등 관리체계의 구축 시 적법한 실행방안을 제시

 

▶ 학습대상

기업의 안전관리 책임자

교육담당자

안전보건팀 직원

중대재해처벌법에 관심 있는 법무팀 직원

공공기관의 안전관련 부서 직원

커리큘럼

  • Part.01_중대재해의 예방과 관리책임
  • 1강chap.01_조직행위규범과 안전경영책임①23분 12초
  • 2강chap.01_조직행위규범과 안전경영책임②33분 21초
  • 3강chap.02_중대재해의 형사책임과 민사책임①35분 10초
  • 4강chap.02_중대재해의 형사책임과 민사책임②37분 45초
  • 5강chap.03_재해예방조치와 관리감독체계①35분 50초
  • 6강chap.03_재해예방조치와 관리감독체계②22분 41초
  • 7강chap.04_중대재해의 사례와 법적 책임20분 10초
  • Part.02_경영책임자의 역할과 책임
  • 8강chap.01_중대재해와 안전경영정책27분 33초
  • 9강chap.02_영국의 법인과실치사 및 법인살인법32분 12초
  • 10강chap.03_경영책임자의 역할과 책임범위32분 11초
  • 11강chap.04_경영책임자의 행위규범과 판단기준24분 39초
  • Part.03_안전보건관리체계의 구축과 적합성
  • 12강chap.01_안전보건관리체계의 구축방법13분 59초
  • 13강chap.02_안전보건관리체계의 적합성 판단48분 11초
  • 14강chap.03_안전보건관리체계의 규범성38분 5초
  • 15강chap.04_안전보건관리체계의 구축 사례16분 38초
  • Part.04_안전보건확보의무와 도급인 등의 책임
  • 16강chap.01_중대산업재해의 예방의무와 위반책임①26분 45초
  • 17강chap.01_중대산업재해의 예방의무와 위반책임②24분 14초
  • 18강chap.02_도급, 용역, 위탁 등 안전보건확보의무①28분 2초
  • 19강chap.02_도급, 용역, 위탁 등 안전보건확보의무②24분 5초
  • 20강chap.03_건설공사 발주자와 도급인의 구별43분 27초
  • 21강chap.04_중대산업재해의 사례와 법적 책임34분 47초
  • Part.05_재해이론과 규범적 통제방법론
  • 22강chap.01_재해발생의 메커니즘 이해38분 37초
  • 23강chap.02_재해이론 및 위험통제방법34분 38초
  • 24강chap.03_중대재해의 예방과 규범적 통제29분 44초
  • 25강chap.04_중대산업재해의 사례와 법적 책임24분 10초
  • Part.06_중대시민재해의 사례와 위반책임
  • 26강chap.01_중대시민재해의 규율대상 ~ chap.02_중대시민재해의 안전보건관리체계32분 53초
  • 27강chap.03_중대시민재해의 이행점검 사례 ~ chap.04_중대시민재해의 사례와 법적 책임33분 3초
  • Part.07_중대재해의 징벌적 손해배상책임과 사례
  • 28강chap.01_징벌적 손해배상의 대상42분 4초
  • 29강chap.02_산업재해와 손해배상책임①39분 57초
  • 30강chap.02_산업재해와 손해배상책임②39분 21초
  • 31강chap.03_손해배상액의 산정방법27분 36초
  • 32강chap.04_징벌적 손해배상액의 산정사례7분 18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