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기술사를 단번에 합격하기 위한 색다른 구성!
인강으로 합격하는
“유창범의 소방기술사_상권”
소방기술사의 시험문제는 단순히 암기를 요하는 것도 있지만 그보다는 소방에 대한 이해를 요하는 것이 대부분입니다. 그러나 시중에 나와 있는 대부분의 소방기술사 책은 요점 내용 위주로 되어 있고, 소방에 관한 기본서가 없는 실정입니다. 이에 소방
관련 내용을 기본개념부터 집필하기 위해 소방에 관련된 다양한 책을 읽고 자료를 수집하여 기술하였습니다.
이 책은 기존에 출판되었던 ‘색다른 소방기술사’의 재개정판으로 크게 3권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내용이 기존의 다른
수험서에 비해 방대하긴 하지만 모두가 소방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내용만을 넣은 것입니다.
책의 구성 중 특이한 점은 책의 중요 내용이 한눈에 쏙쏙 들어오도록 하여 수험생들이 쉽게 공부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하여 내용을 색으로
구분했다는 점입니다. 색은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내용을 나타낸 것으로 기술사를 공부하시는
분이라면 반드시 이해하고 암기해야 할 내용을 나타내었고, 검은색은 소방에 대한 기본개념을 이해하기
위해 서술하였습니다.
■ 특징
및 출판사 서평
◎ 저자직강 인강으로 합격하는 소방기술사
방대하고 어려운 내용을 저자가 직접 강의하는 인터넷 강의를 통해 보다 효율적이고 심도있는 학습을 할 수 있다.
◎ 친절한 시험 가이드 제공
출제기준과 같은 기본적인 시험 정보는 물론 암기비법, 시험지침, 답안 작성 노하우 등을 함께 제시하여 수험생들이 본격적인 학습에 들어가기에 앞서 공부의 틀을 잡을
수 있도록 하였다.
◎ 색다른 표시로 중요 내용을 한눈에 학습
방대한 분량을 보다 효율적으로 학습할 수 있게 하고자 중요한 내용은 색으로 표시하여 한 번 더 주의깊게 볼 수 있도록 하였다.
◎ 주제별 SECTION으로
원하는 내용을 바로 찾기
세부적인 주제별 SECTION으로 원하는 내용을 바로 찾아서 학습할 수 있도록 하였다.
◎ 저자의 노하우가 담긴 꼼꼼체크
꼼꼼체크를 통해 학습 내용에 대한 기본개념을 익히거나 추가 설명이 필요할 때 참고할 수 있도록 하였다.
■ 목차
• 머리말
• 시험 가이드
01 소방
기초이론
• SECTION 001 물리의 기초
• SECTION 002 운동
• SECTION 003 일과 에너지
• SECTION 004 유체역학
• SECTION 005 경계층과 경계층의 박리
• SECTION 006 열역학
• SECTION 007 전자기학
• SECTION 008 파동과 소리
• SECTION 009 빛
• SECTION 010 화학 기본 이론
• SECTION 011 원소의 주기적 성질
• SECTION 012 화학결합
• SECTION 013 분자 간 힘
• SECTION 014 기체와 기체 법칙
• SECTION 015 액체와 고체
• SECTION 016 산과 염기
• SECTION 017 산화-환원
• SECTION 018 화학반응
• SECTION 019 유기 화합물
• SECTION 020 기타 화학
02 소방
기계 Ⅰ
• SECTION 001 소방시설의 종류
• SECTION 002 소방설비 설치대상
• SECTION 003 소방설비 설치면제 기준
• SECTION 004 소화기구
• SECTION 005 소화기구 소화약제
• SECTION 006 물의 특성
• SECTION 007 표면장력
• SECTION 008 소방시설의 동결대책
• SECTION 009 수손피해 방지시스템
• SECTION 010 물첨가제
• SECTION 011 Class A포
• SECTION 012 소화전
• SECTION 013 호스릴
• SECTION 014 수원
• SECTION 015 옥내소화전
• SECTION 016 옥내소화전 가압송수장치
• SECTION 017 배관
• SECTION 018 CPVC
• SECTION 019 배관의 손실
• SECTION 020 배관의 두께 산정방법과 배관시험
• SECTION 021 배관보온재
• SECTION 022 STS 배관재료의 특성
• SECTION 023 강관의 이음방법
• SECTION 024 부식
• SECTION 025 음극부식방지법
• SECTION 026 신축이음
• SECTION 027 안전밸브
• SECTION 028 감압방법
• SECTION 029 물올림장치
• SECTION 030 순환배관
• SECTION 031 탬퍼스위치
• SECTION 032 체크밸브
• SECTION 033 밸브 및 관부속
• SECTION 034 펌프
• SECTION 035 소방펌프
• SECTION 036 비속도
• SECTION 037 상사의 법칙
• SECTION 038 펌프의 동력과 양정
• SECTION 039 펌프의 소음과 진동
• SECTION 040 실
• SECTION 041 펌프의 손실
• SECTION 042 NPSH
• SECTION 043 펌프의 이상현상
• SECTION 044 플래싱
• SECTION 045 펌프의 직·병렬 운전
• SECTION 046 에어록 현상
• SECTION 047 펌프흡입측 설치기준
• SECTION 048 펌프성능 시험배관
• SECTION 049 베나 콘트랙터
• SECTION 050 유량계
• SECTION 051 소방펌프의 기동방식과 압력세팅방법
• SECTION 052 옥내소화전의 제어반
• SECTION 053 옥내소화전 노즐에서 유량측정방법
• SECTION 054 노즐에서 발생하는 힘
• SECTION 055 소화수조
• SECTION 056 방수총 시스템
03 소방
기계 Ⅱ
• SECTION 001 스프링클러설비의 종류 및 특징
• SECTION 002 소화설비의 배관 배열방식
• SECTION 003 스프링클러헤드의 응답특성
• SECTION 004 헤드동작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SECTION 005 스프링클러설비의 방사특성
• SECTION 006 스프링클러헤드의 물리적 특성
• SECTION 007 K-Factor
• SECTION 008 헤드의 분류
• SECTION 009 스프링클러헤드의 배치 및 선정 기준
• SECTION 010 스프링클러헤드 선정 시 고려사항
• SECTION 011 NFPA 헤드 설치
• SECTION 012 방수구역과 방호구역
• SECTION 013 스키핑
• SECTION 014 배관 그림자 효과
• SECTION 015 개방형 격자반자
• SECTION 016 조립형 반자
• SECTION 017 떠 있는 반자
• SECTION 018 Cold soldering
• SECTION 019 제연과 스프링클러
• SECTION 020 스프링클러설비의 배관
• SECTION 021 시험장치
• SECTION 022 플러싱
• SECTION 023 차폐판
• SECTION 024 스프링클러헤드 설치 제외장소
• SECTION 025 스프링클러 감지 및 살수장애
• SECTION 026 보에 관한 규정
• SECTION 027 NFPA의 스프링클러 수원계산방식
• SECTION 028 규약배관방식과 수리배관방식의 비교
• SECTION 029 수리계산의 기본절차
• SECTION 030 정압과 동압
• SECTION 031 Hardy cross
• SECTION 032 수동식 기동장치
• SECTION 033 습식 설비
• SECTION 034 유수검지장치와 일제개방밸브
• SECTION 035 자동경보밸브
• SECTION 036 스프링클러설비 음향장치 설치기준
• SECTION 037 스프링클러설비의 도통시험 및 작동시험
• SECTION 038 스프링클러설비 감시제어반과 동력제어반
• SECTION 039 스프링클러설비의 전원
• SECTION 040 간이스프링클러
• SECTION 041 건식 설비
• SECTION 042 건식 밸브의 방수시간 지연
• SECTION 043 Priming water
• SECTION 044 급속개방장치
• SECTION 045 준비작동식 스프링클러설비
• SECTION 046 준비작동식 스프링클러설비의 동작방법
• SECTION 047 멀티사이클 시스템
• SECTION 048 NFPA의 옥외송수구 연결
• SECTION 049 스프링클러동작에 의한 수손방지대책
• SECTION 050 일제살수방식 설비
• SECTION 051 화재조기진압형
• SECTION 052 CMDA와 CMSA
• SECTION 053 드렌처설비
• SECTION 054 화재확대방지 수막시스템
• SECTION 055 부압식 스프링클러
• SECTION 056 물분무설비
• SECTION 057 초고속 물분무설비
• SECTION 058 미분무수(water
mist)
• SECTION 059 미분무수 소화설비의 소화원리
• SECTION 060 미분무수 소화설비의 적용방법, 압력
• SECTION 061 미분무수(NFTC
104A)
• SECTION 062 포소화설비
• SECTION 063 포소화약제
• SECTION 064 포혼합방식
• SECTION 065 옥외탱크 고정포방출구
• SECTION 066 고팽창포
• SECTION 067 압축공기포 소화시스템
• SECTION 068 수원과 소화약제량
• SECTION 069 개방밸브와 기동장치
• SECTION 070 포헤드 및 포소화전
• SECTION 071 윤화
• SECTION 072 NFPA 수계소화설비의 성능시험방법
• SECTION 073 이산화탄소의 약제특성
• SECTION 074 전역방출방식
• SECTION 075 가스계 소화설비의 설계프로그램 성능인증 및 제품검사
기준
• SECTION 076 전역방출방식 소화설비약제량 계산방법
• SECTION 077 표면화재와 심부화재
• SECTION 078 CO2 국소방출방식 약제량
• SECTION 079 저압식 이산화탄소설비
• SECTION 080 고압식 이산화탄소설비
• SECTION 081 이산화탄소설비 제어반
• SECTION 082 CO2 소화설비 안전대책
• SECTION 083 가스계 소화설비 안전장치
• SECTION 084 과압배출구
• SECTION 085 지구온난화
• SECTION 086 Halon 소화설비
• SECTION 087 농도유지시간
• SECTION 088 할로겐화합물 및 불활성기체 소화약제
• SECTION 089 할로겐화합물 및 불활성기체 소화약제의 소화약제량
• SECTION 090 할로겐화합물 소화약제의 약제 열분해생성물
• SECTION 091 할로겐화합물 및 불활성기체 소화약제의 방출시간 제한
이유
• SECTION 092 할로겐화합물 및 불활성기체 소화약제의 종류
• SECTION 093 할로겐화합물 및 불활성기체 소화설비 설계
• SECTION 094 할로겐화합물 및 불활성기체 소화약제 인명안전기준 NFTC와 NFPA의 비교
• SECTION 095 할로겐화합물 및 불활성기체 소화약제 설치기준
• SECTION 096 가스계 약제량 측정방법
• SECTION 097 Piston flow system
• SECTION 098 가스계 소화설비에서 방사되는 가스량의 불균등 원인과
대책
• SECTION 099 Door fan test
• SECTION 100 방호구역 기밀성 시험
• SECTION 101 액충만
• SECTION 102 분말소화설비
• SECTION 103 3종 분말
• SECTION 104 금속화재 소화약제
• SECTION 105 Twin-agent fire extinguishing system
• SECTION 106 고체에어로졸 설비
소방기술사를 단번에 합격하기 위한 색다른 구성!
인강으로 합격하는
“유창범의 소방기술사_중권”
소방기술사의 시험문제는 단순히 암기를 요하는 것도 있지만 그보다는 소방에 대한 이해를 요하는 것이 대부분입니다. 그러나 시중에 나와 있는 대부분의 소방기술사 책은 요점 내용 위주로 되어 있고, 소방에 관한 기본서가 없는 실정입니다. 이에 소방 관련 내용을 기본개념부터 집필하기 위해 소방에 관련된 다양한 책을 읽고 자료를 수집하여 기술하였습니다.
이 책은 기존에 출판되었던 ‘색다른 소방기술사’의 재개정판으로 크게 3권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내용이 기존의 다른 수험서에 비해 방대하긴 하지만 모두가 소방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내용만을 넣은 것입니다.
책의 구성 중 특이한 점은 책의 중요 내용이 한눈에 쏙쏙 들어오도록 하여 수험생들이 쉽게 공부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하여 내용을 색으로 구분했다는 점입니다. 색은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내용을 나타낸 것으로 기술사를 공부하시는 분이라면 반드시 이해하고 암기해야 할 내용을 나타내었고, 검은색은 소방에 대한 기본개념을 이해하기 위해 서술하였습니다.
■ 특징 및 출판사 서평
◎ 저자직강 인강으로 합격하는 소방기술사
방대하고 어려운 내용을 저자가 직접 강의하는 인터넷 강의를 통해 보다 효율적이고 심도있는 학습을 할 수 있다.
◎ 친절한 시험 가이드 제공
출제기준과 같은 기본적인 시험 정보는 물론 암기비법, 시험지침, 답안 작성 노하우 등을 함께 제시하여 수험생들이 본격적인 학습에 들어가기에 앞서 공부의 틀을 잡을 수 있도록 하였다.
◎ 색다른 표시로 중요 내용을 한눈에 학습
방대한 분량을 보다 효율적으로 학습할 수 있게 하고자 중요한 내용은 색으로 표시하여 한 번 더 주의깊게 볼 수 있도록 하였다.
◎ 주제별 SECTION으로 원하는 내용을 바로 찾기
세부적인 주제별 SECTION으로 원하는 내용을 바로 찾아서 학습할 수 있도록 하였다.
◎ 저자의 노하우가 담긴 꼼꼼체크
꼼꼼체크를 통해 학습 내용에 대한 기본개념을 익히거나 추가 설명이 필요할 때 참고할 수 있도록 하였다.
■ 목차
• 머리말
• 시험 가이드
04 연소공학
001 Fire safety concepts tree
002 연소(combustion)
003 연소의 4요소(fire tetrahedron)
004 연소한계(flammability limit)
005 연소의 구분
006 아이오딘가(Iodine value)
007 화염(flame)
008 상에 의한 연소 구분
009 화재(fire)
010 연소기기 연소의 이상현상
011 기체의 발화
012 액체의 발화
013 고체의 발화
014 화염확산(flame spread)
015 인화점 & 자연발화점
016 고체의 열분해
017 목재의 열분해
018 고분자 물질의 연소
019 FPI(Fire Propagation Index)
020 연소속도(burning velocity, burning rate)
021 열전달
022 벽체의 열전달(열통과율)
023 연소생성물의 생성
024 연소 시 생성되는 가스
025 일산화탄소(CO)
026 화재상황에 따른 연소생성물
유해성
027 독성 가스와 허용농도
028 연기(smoke)
029 연기의 시각적 유해성
030 발연점과 검댕
031 액체 가연물 화재
032 증기-공기밀도와 증기 위험도 지수
033 경질유·중질유 탱크의 화재특성
034 중질유 화재의 물넘침 현상
035 화재의 분류
036 물리적 소화와 화학적 소화
037 건축물 내 화재성상
038 전실화재(flash over)
039 롤오버(roll over) / 플레임오버(flame over)
040 백 드래프트(back draft)
041 가스(기체)의 열균형(thermal
layering of gases or thermal balance)
042 목조건물과 내화 구조건물의
표준시간-온도곡선
043 화재의 성장
044 화재성장곡선
045 화재 플럼(fire plume)
046 화재하중
047 화재 가혹도
048 화재의 조사
049 화재패턴
050 화재 벡터링(fire vectoring)
05 건축방재
001 수동적 방화(passive system)
002 능동적 방화(active system)
003 소방법의 목적
004 건축방재
005 화재안전기준의 이원화
006 설계화재 시나리오(fire scenario)
007 설계화재(design fire)
008 화재모델링(fire modeling)
009 시험(test)
010 축소모델링(scale modeling)
011 고온 연기시험(hot smoke test)
012 존모델(zone modeling)과 필드모델(field modeling)
013 성능위주설계(PBD)
014 국내 성능위주 소방설계 기준
015 성능위주설계 심의 가이드라인
016 PBD의 설계 장단점 및 선결조건
017 건축계획과 방재계획
018 방재계획서 작성 시 주요 항목
019 안전관리설계의 3대 원리
020 IBC와 NFPA의 용도별 분류
021 내화구조와 방화구조
022 내화 시험방법
023 내화성능
024 콘크리트의 중성화(carbonation of concrete)
025 열에 의한 콘크리트의 특성변화
026 내화피복(fire proofing)
027 폭렬(spalling)
028 고강도 콘크리트(High Strength Concrete;HSC)
029 내화도료의 내화성능 평가
030 방화구획
031 방화벽
032 개별난방설비
033 내화채움구조
034 에스컬레이터(escalator), 이동식 보도(moving walk)
035 소방계획서
036 건축물 마감재료 대상 및 적용
037 화재안전성능보강
038 방화재료의 시험 기준 및 방법
039 콘 칼로리미터(cone calorimeter)
040 난연화(flame retardants)
041 방염(flame retardancy, resist dyeing, 防焰)
042 내화, 난연, 방염의 차이점
043 방화지구와 화재예방강화지구
044 방화문(fire door)
045 자동방화셔터(fire shutters)
046 출구지연장치(delay egress device)
047 대피공간과 하향식 피난구
048 피난약자시설 대피공간 등 설치
및 안전관리 가이드라인
049 발코니(balcony)
050 소방관 진입창
051 디지털 도어락(KS C 9806)
052 전동문(auto door)
053 방화댐퍼(fire damper)
054 배연창
055 연소확대 방지계획
056 인접건물 연소확대 방지대책
057 커튼월(curtain wall)
058 선큰 가든(sunken garden)
059 지하층
060 피트(PIT) 공간
061 도로
062 복합건축물
063 2개 이상의 소방대상물 연결
064 설계도서 작성기준
065 건축허가 등의 동의
066 건설현장의 화재안전기술기준(NFTC 606)
067 용접·용단작업
068 공사감리업무
069 소방감리 절차
070 하자보수
071 기존 소방대상물에 대한 소방시설
설치기준이 강화된 경우
072 적산 및 견적
073 물가변동에 따른 계약금액 조정
074 착공신고
075 사용승인
076 소방준공
077 소방검정
078 방재센터
079 불을 사용하는 설비의 관리기준
등
080 사전재난영향성 검토
081 초고층 건축물 방재대책
082 인텔리전트 빌딩(intelligent building)
083 BIM
084 아트리움(atrium)
085 지하공간 화재
086 지하구
087 무창층
088 터널화재
089 터널 제연설비
090 터널의 정량적 위험성 평가
091 차량화재(vehicle fires)
092 공동주택(apartment house)
093 다중이용업소
094 전통시장 화재
095 덕트화재
096 창고화재
097 랙식 창고(rack warehouse)
098 단열재(insulation material)
099 냉동창고(cold storage warehouse)
100 샌드위치 패널(복합자재)
101 필로티 구조 화재
102 복합상영관(multiplex) 시설의 방재대책
103 목조건축물 문화재 화재
104 임야화재(wild fire, brush fire)
105 수렴화재(burning glass)
106 기상과 화재의 관계
107 방화(incendiary fire, Arson)
108 옥외변압기 화재의 위험과 대책
109 원자력 발전소
110 반도체 공장 화재
111 데이터센터
112 지진방재
113 지진화재
114 소방시설의 내진설계
115 지진분리이음, 지진분리장치
116 흔들림 방지 버팀대
117 안전관리 이론
118 가치공학(VE:Value Engineering)
119 생애비용(LCC:Life Cycle Cost)
120 건설사업관리(PM/CM:Program Management/Construction
Management)
121 분리발주
122 화재안전진단
123 기타 건축물 화재
124 각종 화재에 대한 답안지 형식
06 피난
001 NFPA의 피난 시 고려사항 Tree 1284
002 피난계획 1285
003 피난계획 수립순서 1293
004 피난전략 1296
005 피난로 배치 1299
006 NFPA 101의 인명안전설계의
기본적 요구사항 1306
007 NFPA 101에 따른
피난로의 피난용량 산정방법 1308
008 NFPA 101과 국내
피난규정 비교 1313
009 피난안전성의 평가기법 1317
010 적외선 분광분석기 1338
011 통로 통과계산(flow method) 1342
012 피난 모델 1349
013 피난 시뮬레이션 1351
014 수용인원 산정방법 1361
015 피난 시 용도 분류/특징 1364
016 수평피난방식 1367
017 수평면의 비상구(NFPA 101) 1369
018 피난로의 구성(피난접근, 피난통로, 건축물
바깥쪽으로의 출구) 1371
019 피난경로의 구성 1390
020 보행거리 1392
021 복도(passageway) 1397
022 공용 이용통로(common path)와 막다른 길(dead end) 1399
023 계단(stairs) 1402
024 피난, 특별피난계단 1408
025 승강기(elevator) 1425
026 피난구조설비로서의 엘리베이터 1437
027 비상용 승강기 피난 시스템(EEES) 1446
028 건축물 출구의 설치기준 1448
029 회전문(revolving door) 1453
030 피난안전구역 1456
031 옥상에 설치하는 피난시설 1462
032 화재 및 연기에 대한 피난자의
거동 응답 1467
033 피난시설 및 용도제한 1473
034 피난기구 1476
035 인명구조기구 1493
■ 책 소개
소방기술사를 단번에 합격하기 위한 최적 구성
“인강으로 합격하는 유창범의 소방기술사(하권)”
학습자료 총정리판!
소방기술사의 시험문제는 단순히 암기를 요하는 것도 있지만 그보다는 소방에 대한 이해를 요하는 것이 대부분입니다.
그러나 시중에 나와 있는 대부분의 소방기술사 책은 요점 내용 위주로 되어 있고, 소방에 관한 기본서가 없는 실정입니다.
이에 소방 관련 내용을 기본개념부터 집필하기 위해 소방에 관련된 다양한 책을 읽고 자료를 수집하여 기술하였습니다.
이 책은 “학습자료 총정리판”으로 구성되었습니다.
소방기술사를 공부하기 위해서는 한 권의 책만으로는 부족하기 때문에 방대한 자료를 통해 소방에 필요한 내용을
최대한 정리하여 학습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또한, 책의 구성 중 특이한 점은 책의 중요 내용이 한눈에 쏙쏙 들어오도록 하여
수험생들이 쉽게 공부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하여 내용을 색으로 구분했다는 점입니다.
색은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내용을 나타낸 것으로 기술사를 공부하시는 분이라면
반드시 이해하고 암기해야 할 내용을 나타내었고, 검은색은 소방에 대한 기본개념을 이해하기 위해 서술하였습니다.
■ 특징 및 출판사 서평
◎ 저자직강 인강으로 합격하는 소방기술사
저자가 직접 강의하는 인터넷 강의로 보다 효율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하였다.
◎ 학습자료 총정리판 구성
방대한 학습자료를 정리한 구성으로 소방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기초적인 이론을 최대한 익힐 수 있도록 하였다.
◎ 주제별 SECTION으로 원하는 내용을 바로 찾기
세부적인 주제별 SECTION으로 원하는 내용을 바로 찾아서 학습할 수 있도록 하였다.
◎ 저자의 노하우가 담긴 꼼꼼체크
꼼꼼체크를 통해 학습 내용에 대한 기본개념을 익히거나 추가 설명이 필요할 때 참고할 수 있도록 하였다.
◎ 색다른 표시로 중요 내용을 한눈에 학습
방대한 분량을 보다 효율적으로 학습할 수 있게 하고자 중요한 내용은 색으로 표시하여 한 번 더 주의 깊게 볼 수 있도록 하였다.
◎ 친절한 시험 가이드 제공
출제기준과 같은 기본적인 시험 정보는 물론 암기비법, 시험지침, 답안 작성 노하우 등을 함께 제시하여 수험생들이 본격적인 학습에 들어가기에 앞서 공부의 틀을 잡을 수 있도록 하였다.
• 머리말
• 시험 가이드
Part 7 소방전기
001 제벡 효과(Seebeck effect)
002 펠티에 효과(Peltier effect)
003 광전효과(photoelectric effect)
004 바이메탈(bi-metal)
005 서미스터(thermistor)
006 화재알림설비(NFTC 207)
007 감지기의 분류
008 차동식 감지기(rate of rise detector)
009 공기관식 차동식 분포형 감지기 시험방법
010 정온식 스포트형 감지기(spot type fixed temperature heat detector)
011 정온식 감지선형 감지기
012 광케이블식 감지선형 감지기
013 보상식 감지기(rate compensation detector)
014 연기감지기
015 이온화식 & 광전식 연기감지기
016 공기흡입형 감지기(air sampling detector or aspirating smoke detector)
017 Video-based detector
018 불꽃감지기
019 불꽃감지기 설치 시 고려사항
020 태양전지(solar cell)
021 BIPV(건물일체형 태양광 모듈)
022 스파크 또는 엠버 감지기(spark or ember detector)
023 IoT 무선통신 화재감지시스템
024 NFPA 72 감지기 설치기준
025 일본 소방법의 감지기 설치기준
026 가스경보기
027 가스누설경보기의 화재안전기술기준(NFTC 206)
028 CO 감지기
029 축적형 감지기
030 비화재보
031 단독경보형 감지기
032 주소형·아날로그형 감지기
033 화재경보설비의 설계
034 경계구역
035 수신기
036 통신
037 PCM
038 다중화(multiplexing)
039 통신망
040 통신방식
041 R형 수신기의 통신방식
042 NFPA의 자탐방식
043 인텔리전트 시스템(Intelligent system)
044 종단저항(terminating resistance)
045 감지기 설치 제외장소
046 교차회로
047 중계기(transponders)
048 발신기(manual fire alarm box)
049 방재센터
050 배선
051 시각경보장치(strobe)
052 비상경보설비
053 비상방송설비
054 누전경보기(ELD:Earth Leakage Detector)
055 유도등(exit sign)
056 광점멸에 의한 피난유도시스템
057 하스효과(Hass effect)에 의한 음성 피난유도시스템
058 유도표지
059 피난유도선
060 푸르키네 현상(Purkinje effect)
061 비상조명등
062 무선통신보조설비
063 누설동축케이블의 손실
064 50[Ω] 특성 임피던스를 사용하는 이유
065 전압정재파비
066 고조파(higher harmonics)
067 유도장해
068 비상콘센트
069 소방시설의 전원
070 비상전원수전설비
071 자가발전설비
072 축전지설비
073 리튬이온 배터리
074 리튬 폴리머 배터리
075 에너지 저장장치(ESS)
076 무정전 전원설비(UPS)
077 연료전지
078 접지(grounding)
079 전동기 기동법
080 역률(power factor)
081 전기화재의 원인
082 탄화현상(트래킹 현상, 가네하라 현상)
083 은 이동현상(실버 마이그레이션;Ag migration)
084 단락흔
085 피뢰설비
086 서지보호장치(SPD)
087 정전기(static electricity)
088 정전기 방전(ESD)
089 제전기(ionizer)
090 케이블 화재
091 유비쿼터스(ubiquitous)
092 자동화재속보설비
093 화재의 확산을 최소화하기 위한 배선설비의 선정과 공사(KEC 232.3.6)
Part 8 소화활동설비
001 화재 시 발생하는 연기의 유동
002 연돌효과(stack effect)
003 화재 시 부력의 영향
004 환기효과(draft effect)
005 연기의 제어방법
006 NFPA의 연기제어방법
007 송풍기(fan)
008 송풍기의 System effect
009 덕트 설계법
010 댐퍼(damper)
011 거실제연
012 거실제연설비의 급·배기 방식
013 제연 & 공조
014 플러그 홀링(plug-holing)
015 힝클리 공식 유도
016 부속실 제연
017 부속실 급기가압
018 과압방지조치
019 급기가압의 과압
020 유입공기의 배출
021 가압의 변수
022 스프링클러 설치 시 부속실의 최소 차압이 12.5[Pa]인 이유
023 승강로 가압방식
024 승강로의 압력변동 제어방식
025 제연설비 TAB
026 Atrium 제연
027 연결송수관설비
028 연결살수설비
029 소화용수설비
030 소방용수시설
Part 9 폭발과 위험물
001 폭발(explosion)의 분류
002 폭발 메커니즘(TNT 폭발의 관점)
003 TNT 상당량
004 물리적 폭발의 피해예측(KOSHA P-102-2021)
005 산소지수(oxygen balance)
006 가스화재 및 폭발
007 연소파, 폭연파, 폭굉파
008 용기 내 폭발
009 대량 유출된 가연성 증기폭발
010 화구(fire ball)
011 증기운 폭발 시 사고영향평가
012 분해폭발
013 불활성화
014 피크(peak)농도
015 폭발 예방 및 방호
016 화염방지기(flame arrest)
017 공장에서의 화재·폭발 방지대책
018 반응폭주(runaway reaction)
019 방폭(explosion protection)
020 방폭구조의 종류
021 분진폭발
022 분진방폭
023 압력방출장치
024 방유제 설치기준
025 Hazard와 Risk
026 위험성 평가
027 Risk assessment(4M 위험성 평가)
028 위험성 평가방법
029 HAZOP
030 공정안전성 분석기법(K-PSR)
031 작업위험성 평가
032 결함수분석법(fault tree analysis)
033 사건수분석법(event tree analysis)
034 사고결과분석(consequence analysis)
035 원인결과분석법(cause-consequence analysis)
036 Dow 화재폭발지수(FEI)
037 위험의 표현(risk presentation)
038 ALARP
039 장외 영향평가
040 사고피해손실 예측분석
041 화재위험지수(fire risk index)
042 안전무결성 등급(SIL:Safety Integrity Level)
043 방호계층분석(LOPA:Layer Of Protection Analysis)
044 사업장 위험성 평가에 관한 지침
045 화재위험성 평가모델(FREM)
046 PSM(Process Safety Management)
047 공정흐름도와 공정배관계장도
048 재해예방의 원칙
049 GHS & MSDS
050 산업안전보건법상 위험물
051 제조물책임법
052 화학공장 재해의 원인 및 위험성 대책
053 LNG 저장조의 Rollover
054 위험물 총론
055 제4류 위험물
056 특수가연물
057 NFPA 704의 위험물 표시
058 유기과산화물
059 알킬알루미늄
060 혼재, 혼촉발화
061 제조소 시설기준
062 수소충전설비
063 옥외저장탱크 누출대책
064 위험물 시설의 분류
065 옥외탱크저장소
066 옥내탱크저장소
067 소화난이도
068 반도체 제조공정의 일반취급소의 특례
069 이차전지 제조공정의 일반취급소의 특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