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rtified Agricultural Products Quality Manager
농산물 원산지 표시 위반 행위가 매년 급증함에 따라 소비자와 생산자의 피해를 최소화하며 원산지 표시의 신뢰성을 확보함으로써 농산물의 생산자 및 소비자를 보호하고 농산물의 유통질서를 확립하기 위하여 도입되었습니다. 
■ 농산물품질관리사 관련 직무
 
				
■ 시험과목 및 합격 기준
| 1차 대비 | 2차 대비 | |
| 과목 | 1. 관련 법령 2. 원예작물학 3. 농산물유통론 4. 수확 후 품질관리론 | 1. 농산물 품질관리 실무 2. 농산물 등급판정 실무 | 
| 검정방법 | 객관식 4지 택일형(과목당 25문항) 120분 | 주관, 단답형 및 서술형 80분 | 
| 합격기준 | 100점 만점 기준 과목당 40점 이상, 전과목 평균 60점 이상 | 100점 만점 기준 60점 이상 | 
■ 농산물품질관리사 수행직무
· 농산물의 등급판정
· 농산물의 출하시기 조절, 품질관리기술 등에 대한 자문
· 그 밖에 농산물의 품질향상 및 유통효율화에 관하여 필요한 업무로서 농림수산식품부령이 정하는 업무
■ 2025 농산물품질관리사 시험일정
| 구분 | 1차 원서접수 (정기) | 1차 원서접수 (빈자리) | 1차 시험 | 2차 원서접수 (정기) | 2차 원서접수 (빈자리) | 2차 시험 | 
| 제22회 | 2.24~2.28 | 3.27~3.28 | 4.5(토) | 5.26~5.30 | 7.3~7.4 | 7.12(토) | 
[농산물품질관리사] 최근 5개년 합격률
| 연도 | 1차 | 2차 | ||||
| 응시 | 합격 | 합격률 | 응시 | 합격 | 합격률 | |
| 2024 | 1,634 | 567 | 34.7% | 636 | 62 | 9.7% | 
| 2023 | 1,738 | 519 | 29.9% | 570 | 157 | 27.5% | 
| 2022 | 1,530 | 415 | 27.12% | 522 | 153 | 29.31% | 
| 2021 | 2,100 | 648 | 30.9% | 646 | 166 | 25.7% | 
| 2020 | 1,274 | 537 | 42.2% | 666 | 234 | 35.1% | 
				응시자격/방법
				
				
			
			■ 농산물품질관리사 응시 자격
▶ 아래 조건 중 하나라도 해당되는 자
제한 없음
※ 단, 농산물품질관리사의 자격이 취소된 자로 그 취소된 날부터 2년이 경과되지 아니한 자는 시험에 응시할 수 없음
■ 농산물품질관리사 응시 방법
▶ 자격 취득
① 시 행 처 : 한국산업인력공단
② 합격자 기준: 
제 1차 시험: 과목당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각 과목의 점수가 40점 이상이고 전 과목 평균 점수가 60점 이상인 응시자
제 2차 시험: 제 1회 시험의 1차 필기시험에 합격한 응시자 중,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을 득점한 응시자
③ 시험접수비(응시료)
제 1차 시험: 20,000원/ 제 2차 시험: 33,000원
④ 시험시간
제 1차 시험: 09:30~11:30 (120분)
제 2차 시험: 09:30~10:50 (80분)
 
					 
				

 
					 
				